티스토리 뷰
목차
자율주행차는 운전자의 개입 없이 차량이 스스로 주행하는 기술로, 자동차 산업의 미래를 이끄는 핵심 분야입니다. 국제자동차기술자협회(SAE)는 자율주행 기술을 0단계부터 5단계까지로 분류하고 있으며, 이 기준은 전 세계적으로 통용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자율주행차의 5단계 기술 정의와 함께, 한국이 현재 어느 수준까지 도달했는지를 분석해보겠습니다.
1. 자율주행차의 5단계 기술 정리
1) 레벨 0~2: 운전자 중심의 보조 운전
- 레벨 0 – 비자동화: 운전자가 모든 주행을 직접 수행
- 레벨 1 – 운전자 보조: ACC(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 등 일부 기능만 자동화
- 레벨 2 – 부분 자율주행: 핸들 조향, 가속·감속을 동시에 지원하나 운전자가 상시 주의 필요
현재 대부분의 양산차에 탑재된 자율주행 기능은 레벨 2 수준입니다. 현대차, 기아, 테슬라, 벤츠 등 다양한 브랜드에서 해당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2) 레벨 3: 조건부 자율주행
레벨 3는 특정 조건에서 차량이 스스로 주행을 제어하며, 시스템 요청 시 운전자가 개입해야 합니다. 고속도로와 같이 예측 가능한 환경에서만 작동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차량이 스스로 주행, 차선 변경, 감속 가능
- 돌발 상황 발생 시 운전자가 즉시 개입
- 예시: 제네시스 G90 (HDP – Highway Driving Pilot)
3) 레벨 4: 고도 자율주행
정해진 환경(지정 도심, 고속도로 등)에서 운전자 개입 없이 완전 자율주행이 가능한 수준입니다. 단, 모든 도로 환경에 대응하는 것은 아니며, 시스템이 운행 책임을 지는 것이 특징입니다.
- 무인 로보택시, 자율주행 셔틀 등의 상용화 단계
- 돌발 상황 발생 시 차량 스스로 대처 가능
- 한국: 상암, 세종 등에서 시범 서비스 중
4) 레벨 5: 완전 자율주행
운전자가 아예 필요 없는 완전 자율주행 단계입니다. 도로, 날씨, 교통 상황 등과 무관하게 차량이 모든 조건에서 스스로 주행합니다.
- 핸들, 페달 등이 없는 차량 가능
- 현재 세계 어느 나라도 완전한 레벨 5 상용화는 미달성
- 미래 기술로 분류되며, 법·제도 정비가 동반되어야 함
2. 한국의 자율주행 기술, 어디까지 왔을까?
1) 레벨 2 – 상용차 대부분에 적용
현대차, 기아, 제네시스 등 주요 브랜드는 HDA(고속도로 주행 보조) 또는 HDA2, SCC(스마트 크루즈 컨트롤) 기능을 탑재한 레벨 2 자율주행 차량을 출시하고 있습니다.
- 아이오닉5, 쏘렌토, K8 등에서 제공
- 차간 거리 유지, 차선 유지, 고속도로 자동 조향 지원
2) 레벨 3 – 제네시스 G90 통해 상용화 시작
2023년, 현대차 제네시스 G90에 HDP 시스템이 탑재되며 국내 첫 레벨 3 차량 상용화가 시작되었습니다.
- 고속도로 특정 구간에서 핸즈프리 주행 가능
- 운전자는 상황에 따라 개입 요청을 받을 수 있음
- 국토부로부터 정식 레벨 3 인증 획득
3) 레벨 4 – 시범 사업 및 연구 개발 단계
국내에서는 레벨 4 자율주행차에 대한 시범 운행과 기술 검증이 진행 중입니다.
- 서울 상암, 세종, 판교 등에서 자율주행 셔틀 운행
- 모셔널(Motional) – 현대차와 앱티브의 합작, 미국서 로보택시 실증 진행
- 한국은 2027년까지 레벨 4 상용화를 목표로 기술 개발 중
4) 레벨 5 – 기술 및 인프라 준비 단계
국내에서도 일부 기업과 연구기관이 레벨 5 기술 개발을 위한 AI, 센서, 통신 기술 연구를 하고 있으나, 아직 실도로 적용 및 상용화까지는 갈 길이 멀다는 평가입니다.
- 법적 제약, 인프라 부족, 운행 책임 규정 미비
- 국내는 레벨 3~4를 중점적으로 개발 중
3. 자율주행 기술 상용화 일정과 과제
1) 정부 로드맵
- 2025년 – 레벨 3 차량 대중화
- 2027년 – 고속도로 중심 레벨 4 상용화
- 2030년 이후 – 도심 자율주행 확대 및 레벨 5 연구 강화
2) 주요 과제
- 법·제도 정비 – 책임소재, 보험제도, 도로교통법 개정 필요
- 인프라 확충 – HD맵, 5G·V2X 통신망, 스마트 신호등 등 필요
- 대중 신뢰 확보 – 안전성 검증 및 사고 대응 체계 마련
결론: 한국의 자율주행차, 현재는 레벨 3… 레벨 4를 향해
한국의 자율주행차 기술은 현재 레벨 3까지 상용화에 성공했으며, 일부 지역에서 레벨 4 시범 운행이 이루어지고 있는 단계입니다. 기술력과 인프라는 점차 향상되고 있지만, 법제도와 대중 수용성 강화, 실증 데이터 축적이 앞으로의 관건입니다.
2027년을 목표로 레벨 4 상용화가 추진 중이며, 궁극적으로 레벨 5 완전 자율주행 시대를 향한 준비가 점차 가속화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