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한국의 자율주행 기술은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으며, 정부와 기업의 협력 아래 실증 테스트와 상용화 준비가 활발하게 진행 중입니다. 하지만 글로벌 기술 경쟁 속에서 아직 해결해야 할 기술적, 제도적 과제도 적지 않습니다. 본문에서는 한국 자율주행차의 기술 수준, 주도 기업들의 개발 현황, 그리고 기술적 한계와 극복 과제를 중심으로 살펴보겠습니다.
1. 한국 자율주행차 기술력, 어디까지 왔나?
한국은 세계 최초의 5G 상용화를 통해 자율주행차 핵심 인프라 기술에서 글로벌 선두를 달리고 있으며, 현대자동차, 현대모비스, 네이버랩스 등 주요 기업들이 자율주행차 개발에 본격적으로 나서고 있습니다.
레벨 2~3: 이미 상용화
현재 국내에서 판매 중인 일부 고급 차량(제네시스 G90, 아이오닉 5, 기아 EV9 등)에는 레벨 2~3 자율주행 기능이 탑재돼 있습니다.
- 차선 유지 보조(LKA)
- 고속도로 주행 보조(HDA)
- 전방 충돌방지 보조(FCA)
- 레벨 3 HDP(Highway Driving Pilot) – 일부 조건에서 운전자가 손을 떼고 주행 가능
2023년부터는 제네시스 G90에 레벨 3 자율주행 기능이 적용되었고, 국토교통부는 2027년까지 레벨 4 상용화를 목표로 로드맵을 실행 중입니다.
지도·센서·AI 기술 고도화
- 정밀지도(HD Map): 네이버랩스, 현대엠엔소프트 등 국내 기업이 고도화 작업 진행
- 센서 기술: 현대모비스는 라이다(LiDAR), 레이더, 카메라 센서 통합 솔루션 개발
- 자율주행 AI: 자체 주행 알고리즘과 딥러닝 기반 객체 인식 기술 상용화 단계
정부의 실증사업 지원
- 세종시, 판교, 대구 등지에서 로보셔틀, 자율주행 택시 시범 운행
- K-City(화성 자율주행 테스트베드) 운영
- 2027 레벨 4 상용화 프로젝트 진행 중
2. 기술적·산업적 한계는 무엇인가?
한국의 자율주행 기술이 일정 수준에 도달했음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수준과 비교했을 때 해결해야 할 과제도 많습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역량 부족
- AI 기반 자율주행 알고리즘은 방대한 실제 주행 데이터에 기반해 학습되어야 함
- 한국은 실도로 데이터 확보량이 미국(테슬라, 웨이모)이나 중국(바이두)에 비해 적음
- 지도 업데이트 빈도, 다양한 도로환경 반영 부족
센서·반도체 핵심 부품의 해외 의존도
- 핵심 자율주행 센서와 반도체 대부분이 미국, 독일, 일본에서 수입
- 국산화율이 낮아 공급망 리스크 존재
- 삼성전자, SK하이닉스가 AI 전용 차량용 반도체 개발 중이지만 아직 초기 단계
도심 주행 환경 대응 미흡
- 도심은 예측 불가능한 변수(보행자, 골목길, 이륜차 등)가 많아 고난도 기술 요구
- 현재 자율주행차는 주로 고속도로 중심으로 개발
- 정밀지도와 교통 인프라가 도심 전체로 확대되지 않음
법제도 및 보험 체계 미비
- 자율주행 사고 시 책임 소재 불분명
- 레벨 3 이상에서 운전자가 아닌 시스템이 주행을 담당할 경우 보험 기준 애매
- 차량 인증, 데이터 보안, 해킹 대응 등 법적 장치 미흡
3.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기술 및 산업 전략
자율주행 기술의 상용화를 위해선 단순한 기술 개발뿐만 아니라 생태계 전체의 동반 성장이 필요합니다.
실도로 데이터 확대와 AI 학습 고도화
- 전국 도심 실도로 주행 테스트 확대
- 공공/민간이 협력해 자율주행 학습용 오픈 데이터셋 공유 필요
- AI 주행 판단 알고리즘의 정밀도 제고
센서 및 반도체 기술 국산화
- 자율주행 전용 라이다, 이미지 센서, 레이더 칩 등 국산 기술 개발 가속화
- 정부의 ‘차량용 반도체 지원 사업’과 민간 기업의 R&D 투자 강화
- 글로벌 공급망 불안정 상황 대비
도심 인프라 연계 전략
- 스마트시티와 연계한 도심 주행 인프라 구축 필요
- V2X 통신 기반의 신호등, 교차로 연동 시스템 구축
- HD맵과 교통 상황 실시간 반영 시스템 통합
법제도 선제 정비
- 자율주행 책임 소재, 데이터 보호, 해킹 방지 등 포괄적 입법 필요
- 자율주행 보험상품 도입 확대
- 레벨 4 상용화를 위한 인증 기준 완비
결론
한국의 자율주행차 기술은 분명 빠르게 발전 중이며, 일부 고급 차량에서는 이미 레벨 3 주행 기능이 적용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완전한 자율주행차 상용화를 위해서는 AI 소프트웨어, 센서 기술, 인프라 구축, 법 제도 정비 등 여러 과제가 동시에 해결되어야 합니다.
현재는 ‘기술 시연’ 단계에서 ‘생활 속 운행’ 단계로 넘어가기 위한 과도기입니다. 한국이 글로벌 자율주행 시장에서 기술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산업 전반의 연계와 정부의 전략적 지원이 지속적으로 필요합니다.